티스토리 뷰
목차
문화비 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가 도서, 공연, 미술관 등 문화 활동에 사용한 금액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. 절세와 문화생활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싶은 분들을 위해, 제도 안내부터 참여 방법, 사업자 등록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 안내
1) 제도안내
문화비 소득공제는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이 총급여의 25%를 초과한 근로자가 도서·공연비 등 문화활동 지출액에 대해 30%의 추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에게 적용되며, 최대 공제 한도는 100만 원입니다.
2) 적용상품/추가업종
공제 대상은 도서, 공연 티켓, 박물관·미술관 입장권 등이며, 문체부에 등록된 문화비 사용처만 해당됩니다.
2025년부터 수영장과 체력단련장 시설 이용권도 소득공제 대상으로 추가되었습니다.
문화비소득공제가 가능한 업체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3) 안내서 다운로드
제도에 대해서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를 확인해보세요.
2.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 참여하기
1) 사업자 참여 접수 및 등록 안내
도서, 공연, 전시 등 관련 업종의 사업자는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에 참여하여 매출 증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 참여를 원하는 사업자는 다음 내용을 확인하세요.
- 적용상품 확인: 판매 또는 제공하는 상품이 문화비 공제 대상인지 확인
- 사업자 유형: 서점, 공연장, 전시시설, 티켓 예매업체 등
2) 접수신청 바로가기
사업자 등록 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접수 가능합니다.
3) 등록 후 홍보물 제공
문화비 소득공제 등록을 완료한 사업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홍보물이 무료로 제공됩니다.
- 제도 안내서
- 홍보 리플릿
- 삼각대 POP
- 현수막 및 배너
3. 문화비 소득공제 혜택 받기
1) 지역별 대상 사업자 찾기
소비자가 문화비 소득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공제 대상 사업자에서 결제해야 합니다. 지역별로 공제 대상 사업자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서점, 공연장, 박물관, 미술관 등 원하는 카테고리로 필터링하여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.
4. 궁금한 내용은 여기에서!
1) 온라인 문의하기
제도 이용 중 궁금한 점이 있다면 온라인 문의를 통해 직접 질문할 수 있습니다.
2) 자주하는 질문
가장 자주 접수되는 문의사항은 FAQ에 정리되어 있습니다.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, 조건, 사용처 등 핵심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문화비 소득공제로 절세와 문화생활을 동시에!
정부가 추진하는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는 근로자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, 사업자의 매출 증대에도 도움을 줍니다. 근로자는 공제 혜택을 누리고, 사업자는 제도 참여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
지금 바로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 등록 또는 지역별 가맹점 검색을 통해 유익한 혜택을 누려보세요!